목록전체 글 (366)
seong

관계 연산자 두개의 피 연산자를 비교 해준다. 관계 연산자의 출력은 True(참) , False(거짓) 이다. 연산자 기호 의미 사용 예시 == x 와 y가 같은가? x == y != x 와 y가 다른가? x != y > x가 y보다 큰가? x > y = x가 y보다 크거나 같은가? x >= y 3); // 1은 3보다 크다 : false System.out.println(1 < 3); // 1은 3보다 작다 : true } } 결과

형변환 연산자의 타입 (int , double, char 등등) 을 변환 해주는것을 말한다. 묵시적 형변환 int 타입을 double 타입으로 변환 시켜 주려면 바로 써주면 된다 이유는 int의 크기는 4Byte, double은 8Byte이기 때문이다. 4칸짜리 공간을 8칸짜리 공간으로 옮겨 넣는다. 명시적 형변환 double 타입을 int 타입으로 형 변환 시켜주는 것은 명시적으로 해주어야 한다. 8Byte -> 4Byte로 하는 것은 4칸을 -> 8칸으로 하려면 넘치기 때문에 "(타입)변수" 로 선언 해주면 된다. package ex05; public class CastEx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10; // 4Byte dou..

소스코드 package ex05; public class OperEx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1); // 더하기 System.out.println(1-1); // 빼기 System.out.println(2*2); // 곱하기 System.out.println(4/2); // 나누기의 몫 System.out.println(3%2); // 나머지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10/3); // 나누기 System.out.println(10/3.0); // 나누기 , 캐스팅 } } 결과 값

1. 상단 바에 Window -> Preferences 2. Preferences화면 에서 font를 검색 -> 아래 Colors and Fonts -> Basic 3. Text Font Basic의 가장 아래부분에 Text Font가 있다. 더블 클릭 하면 "글꼴" 화면 열린다. 원하는 글꼴 , 스타일, 크기 설정

1. 자바의 File 명은 파스칼 방식으로 작성하기 파스칼 작성법은 간단하게 모든 단어는 대문자로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단어 2개가 합쳐질 때 단어의 첫번재를 대문자로 해주면 된다. HelloWorld , FileNum 2. File 명과 Class의 명이 동일 해야한다. 3. .java → 컴파일 → .class → 실행 → .class를 JVM이 로드 하기때문이다. static 적혀진 키워드를 찾는다 main() static 메모리 공간에 main()이 저장된다. jvm이 main() 메서드를 static 메모리 공간에서 찾는다. main() 메서드 내부를 실행 JVM 종료
자바 메모리 구조 (Static, Stack, Heap) 프로그램을 실행 하기 위해선 메모리(RAM)이 필요하며 운영체제(OS)가 메모리에게 저장공간을 할당 해 준다. 이 할당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 하느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속도가 바뀐다. 자바에서는 효율적인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 Static, Stack, Heap를 사용한다. 자바의 세가지 메모리 영역(Static, Stack, Heap) Static 영역 (Class에 고정되어 있는 멤버) Static영역은 “정적”이다. Static는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할 때 한번 실행하게 되며,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까지 남아있는다. 즉 패키지, 클래스 정보가 호출 되는 시점에 메모리에 할당된다. Stack 영역 Stack은 지역 변수 라고도 할 수 있다. 기..

JVM이란? 자바 가상 머신 Java Virtual Machine 이다. 이는 자바 언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의 실행 환경을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자바로 작성된 코드를 컴파일 하면 .class로 만들어지고 이 코드가 JVM에서 실행된다. JVM을 사용하면 하나의 .class 바이트 코드로 모든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 .class는 컴퓨터가 읽는 기계어 이다. .class를 window 환경과 mac 환경에 맞춰서 바꿔주는 역할을 JVM이 담당한다.
컴파일이란? 사용자가 코드를 작성하고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번역 해주는 역할을 한다. Ex) 코드작성 -> 컴파일 -> 번역된 컴퓨터 언어 -> 실행 인터프리터란? 컴파일러가 컴파일을 통해 컴퓨터가 알아듣기 쉬운 언어로 번역하는것 이라면 인터프리터는 사용자가 코드를 작성했다면 그 코드를 바로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Ex) 코드작성 -> 인터프리터 -> 프로그램 실행 컴파일 인터프리터 편의성 수정후 다시 컴파일 하고 실행 수정 후 즉시 실행 가능 실행속도 컴퓨터가 저수준 언어로 실행되기 때문에 빠르다 느리다 보안성 컴파일 된 후 이기 때문에 코드가 유출 가능성이 낮다 코드가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출 가능성이 있다 용량 실행 파일 전체를 전송 -> 높..